[ 뉴스시선집중 이학범 기자 ]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동작을)은 15일 국정감사에서, 한전에 석탄발전사업 투자를 통한 ‘두산중공업 살리기’를 중단하고, 세계 원전해체시장에 초점을 맞춰 국내 에너지 기업 생태계를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이수진 의원실(동작을)이 한전으로부터 받은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한전이 강행하는 석탄발전 투자의 명분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몇 년간 주요 해외 연기금들이 한전의 해외 석탄발전사업 투자에 반대하며 자금을 대량 회수해왔다. 네덜란드연기금(APG)의 경우 4년 만에 한전 주식 3.8% 규모만을 남기고 모두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전이 2007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중국 산서 발전사업의 발전원별 매출액과 순이익, 투자금 현황을 보면 석탄발전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이익 환수율이 더 높아, 수익 측면에서도 사업 명분이 뚜렷하지 못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한전이 올해 또다시 인도네시아 자바, 베트남 붕앙의 신규 화력발전사업 투자를 강행하는 과정에서 석연찮은 점들이 발견되면서, 무리한 석탄발전 사업 목적이 ‘두중 살리기’가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로 인도네시아 자바 9&10 석탄발전 사업과 관련, 이사회 부실 문제가 확인됐다. 한전 관계자에 의하면, 이 사업의 재무타당성 외부감사를 두산중공업의 외부감사도 전담하고 있는 삼정KPMG가 맡았음에도 이사회에서는 사업타당성 재무모델링 자료도 보고되지 않았다. 또 한전은 이 사업을 안건으로 이사회를 두 차례 열었는데, 처음 6차 이사회에서 안건이 ‘의결 보류’된 지 불과 4일 뒤, 이 안건만을 재논의하기 위한 원포인트 7차 이사회를 열어 사업을 통과시켰다. 특히 이사회 회의록에는 이례적으로 이사진의 찬반현황도 기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금년 열린 이사회의 찬반안건 19건을 통틀어 찬반현황을 기재하지 않은 건 이 2건이 유일하다.
한편 실제 한전 등 에너지공기업의 두산중공업 지원 규모는 막대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한전과 발전 자회사가 운영, 건설, 개발 중인 해외 석탄발전사업 총 9건 중 두산중공업이 EPC에 참여하는 사업은 6건에 달하며, 이를 통해 두산중공업과 그 협력사가 얻을 수 있는 총수익은 44.3억 달러, 우리 돈으로 무려 5조 2천억 원 규모였다. 인도네시아 자바, 베트남 붕앙의 두 신규 화력발전 사업을 통해서는 협력사를 제외하고 순수하게 두산중공업이 단독으로 얻는 수익만 총 6,195억 7천만 원 규모다.
또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라 올해 한전과 그 자회사를 포함한 우리 에너지 공기업 10곳이 두산중공업과 맺은 수주계약을 전수조사한 결과, 전체 계약은 125건으로 6,400억원 규모이고, 그중 국내 석탄발전 사업과 관련된 계약의 합산 규모만 약 2,484억 원, 화력발전 전체로는 6,022억 원 규모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이수진 의원(동작을)은“이러한 사실들에도 불구하고 정말 두산중공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면, 한전이 막대한 해외 연기금 유출을 감수하면서까지 해외 석탄발전 사업을 고집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하고, “전 세계적 에너지 정책은 대전환을 맞고 있으며, 에너지 기업을 향한 우리 공기업의 지원 방향도 확실히 전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탈원전 흐름으로 인해 원전 해체시장의 총규모는 549조 원으로 예상된다”며 “두산중공업도 국내 원전해체기술 기업에 포함되어 있는 만큼, 두산중공업을 지원할 필요가 있더라도 이제는 전통에너지원이 아닌 원전 해체시장 선점과 같은 새로운 에너지 시장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