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시선집중, 조선호기자] 내년, 3월이면 4세대 무선통신기술(LTE. Long Term Evolution)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통신망이 전국에서 사용 가능해진다.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을 정식 운영하는 것은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최초다.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되면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경찰청과 소방청, 자치단체 등 대응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11월 4일(수) 남부권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수도권 구축을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추진 경과를 발표했다.
기존에는 경찰청, 소방재청, 자치단체 등이 각각 초단파(VHF)와 극초단파(UHF) 무전기와 주파공용통신(TRS) 등을 사용해왔다.
이에, 상황 긴급한 재난 발생 시 상황 공유와 대응 등이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2018년부터 본격 추진된 재난안전통신망은 올해 9월 2단계 사업 구축을 완료하고 마지막 3단계 사업(수도권 구축)을 진행 중이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총 1조 5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중부권, 남부권, 수도권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이미, 1단계 사업 구역인 대전과 세종, 강원, 충청지역에서 경찰이 시범운영 중이고, 2단계 사업으로 남부권까지 통신망이 확대되었다.
내년 3월 수도권까지 구축을 완료하면, 전국망을 완성하여 본격적인 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특히, 2단계 사업을 통해 3곳의 운영센터를 구축하여 하나의 센터가 멈추거나 운영이 중단되더라도 차질 없는 통신망 운영이 가능해진다.
서울-대구-제주 운영센터의 3원화 체계를 구축하여 정전, 장비 고장 등 장애 발생 시에도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해상망, 철도망과 주파수(전파) 공용 사용으로 인한 상호 방해 없이 재난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지국 공유기술을 적용하여 통화권을 확대했다.
한편, 재난안전통신망의 활용?확산 및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개발?시험환경(Test-Bed)을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협력하여 구축하고, 사용기관 및 민간업체에 개방한다.
행안부는 개발?시험환경 구축을 계기로 사용기관과 민간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기획·개발, 상용화로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안영규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내년 3월까지 3단계 수도권 지역 구축을 마무리해서 세계 최초로 전국 규모의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정식 운영을 시작하겠다.”며, “전국망 운영 시점에 맞춰 이용 활성화 등 사업효과를 조기에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