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시선집중, 이학범기자] 국내 항암 신약 개발을 촉진하는 등 ‘항암 주권’을 확립하기 위해선 ‘국가 암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고, ‘임상 연구허브 건립 및 연구개발 펀드’를 조성해 전문가와 민간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이 지난 16일 오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주최한 ‘항암주권 확립 및 국내 항암 신약 개발 촉진을 위한 국회 공청회’에서 전문가와 민간기업, 행정 등이 모여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해 극복해야 할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의견을 논의했다.
암 발생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항암제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탓에 국내 항암제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공청회가 기획된 것이다.
‘항암주권’을 강조해 온 허종식 의원은 “국내 글로벌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꾸준한 경제적·제도적 지원 및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자원 결합 확대가 필요하다”며 “국민들이 가장 불안하게 생각하는 질병인 암에 대해 국가가 책임질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청회 좌장을 맡은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은 “국내 암 치료와 신약 개발 기술이 세계의 기준이 되도록 국립암센터가 선두에 서서 지원하고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박중원 국립암센터 항암신약신치료개발사업단장은 “항암제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에 비해 국내 암 연구비 지원은 매우 부족한 데다 예산이 여러 부처에 분산돼 있어 총괄 관리가 어렵다. 우리나라도 집중적인 정부의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박 단장은 “항암 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시험의 중요도가 높은 만큼 임상 전문가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우 국립암센터 연구소장은 “국립암센터가 가지고 있는 연구경험과 기획 관리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국가암데이터센터, 암생물 자원 공유 및 임상시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를 주도하는,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한 고도화된 국가적 협력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토론에 나선 김성현 셀트리온 의학본부장은 “항암 신약뿐만 아니라 모든 질병에 대한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은데, 특히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력과 시스템의 부족을 느꼈다”라며 “정부의 지원과 더불어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귀현 한미약품 부사장은 “암 발생과 연관된 데이터 및 정보가 기관별 연구자별로 보유하고는 있으나 통합되어 있지 않고, 그 양이 제한적이므로 암데이터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영주 방앤옥컨설팅 대표는 “민간기업들이 보다 수월하게 연구와 제품 상용화를 할 수 있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의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성창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바이오헬스 분야의 예타 통과 비율이 굉장히 낮다”며 “규제 등 본질적인 문제에 있어 보건의료 R&D 정부 지출에 대해서 고민이 필요하며 복지부가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박미선 식품의약품안전처 첨단바이오융복합개발과장은 “식약처는 최근 바이오 헬스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며 “항암 신약의 사업화를 위해 검토 대상으로 선정된 연구 신약의 제품화 지원 등 기획 단계부터 검토하여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진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은 “글로벌 항암 신약 개발에는 긴 시간이 필요함을 받아들이고 지속가능한 사업을 추진해야한다”며 “국가적 차원에서의 큰 그림이 먼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3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바이오 혁신 가속화 전략’, ‘오바마 케어’ 부활, ‘암 정복 선언’ 등 바이오헬스 정책 방향으로 제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