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지난해 우리나라 근로손실일수가 전년 대비 27.2% 감소했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9년 노사관계 통계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9년 노사분규건수는 141건으로 2018년 134건 대비 5.2%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손실일수는 402천일로 2018년 552천일 대비 27.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손실일수는 現 정부 출범 이후 (2017년) 862천일 → (2018년) 552천일 → (2019년) 402천일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2019년에는 현대자동차 무분규 임단협 타결 등의 영향으로 근로손실일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최근 20년 간 집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노사분규가 발생한 141개 사업장 중 1,000인 이상 사업장은 46개소로 2018년 26개소에 비해 76.9%가 증가했음에도1,000인 이상 사업장 1개소당 평균 분규 일수는 2018년 16.8일에서 2019년 9.9일로 41.4% 감소함에 따라 분규가 증가한데 비해 근로손실일수가 감소한 주요 원인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노사분규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국가별로 통계 작성기준이 달라 일률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국제노동기구(ILO)에서 노동쟁의 수준의 국제 비교를 위해 사용하는 “임금 노동자 1,000명당 근로손실일수”에 따르면 최근 10년(2007년~2017년) 평균 주요 국가의 임금 노동자 1,000명당 근로손실일수는 덴마크 107.8일, 이탈리아 48.5일(2007년~2008년), 스페인 56.6일, 영국 23.4일, 미국 6.0일, 일본 0.2일이고 우리나라는 10년간 평균 42.33일로 많은 유럽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은 “장기간 파업은 노사 모두에게 불리하다는 노사의 인식 변화, 어려운 경제여건과 국민정서 등을 고려한 노사간 합의관행 확산, 당사자간 원활한 교섭을 위한 정부의 조정·지원제도 등이 근로손실일수가 감소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하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노사분규로 인한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취약.핵심 사업장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한편”, "노사 관계 현안점검회의" 등을 통해 분규를 사전에 예방하고, 필요한 경우 현장을 방문하는 등 노사 갈등이 조기에 마무리 되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주요 정책 현안에 대해서는 노사단체와 다양한 방식의 사회적 대화와 소통을 통해 노사 갈등을 줄여 나가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