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서울시, 국내최초 IoT기반‘안전 초시대’연다.

국내최초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 구축, 3월부터 본격가동

서울시는 “국내 최초로 IoT기술을 활용한「실시간 소방시설관리 시스템」을 지난해 12월 구축 완료하고, 2월까지 시험운영을 거쳐 오는 3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실시간 소방시설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안전도시 서울 구현’을 목표로 지난 2017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은 소방시설 100% 정상작동을 목표로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현재까지 총717개소의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에 설치했으며, 관할 소방서와 연결하여 초단위로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어, 소방시설관리에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 구축에 따라 관할 소방서와 해당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자는 스마트폰과 PC로 언제 어디에서나 실시간으로 소방시설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실시간 소방시설 작동상태는 빅데이터로 관리되고, 분석을 통해 비화재보*, 고장, 오작동 등의 원인 및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관할 소방서에서 해당 건축물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소방시설 정상작동 여부는 인명피해 규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에도, 현재 소방공무원의 인원으로는 점검할 수 있는 건물 수에 한계가 있어 상시적으로 소방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소방시설 미작동 등에 의한 대규모 인명피해의 대표적 사례는 ’17년 2월 동탄 주상복합건물 화재로 52명(사망4, 부상 48)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9월에도 김포의 한 요양병원에서 스프링클러 설비와 제연설비가 작동하지 않아 사상자 59명(사망3, 부상56)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반면에 소방시설이 정상 작동했던 신촌 세브란스병원(’18.2.), 광진구의 고시원(’19.2.) 화재의 경우 인명피해는 0명이었다.

서울시의 경우 소방점검 대상건물이 20만 9천 개소에 달하며, 소방공무원이 연간 2만개소를 조사하고 있어 전부를 조사하는 데는 약 10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은 소유자 등 관계자의 책임 하에 유지·관리해야 한다.

’18년 7월부터 ’19년 12월까지 실시한 화재안전특별조사 결과 조사대상 59,325개동 중 불량대상은 33,674개동으로 불량률이 56.8%에 이르러 소방시설 관리에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현재까지 불량대상은 대부분 시정조치가 완료되었으나, 소방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지난 ’17년 12월부터 3개월간 종로구와 중구에 소재한 건물 8개소에 대한 시스템 구축 전후를 비교한 결과 화재 오작동은 713건→ 478건(33%↓)으로 감소했고, 고장은 645건→ 132건(80%↓) 감소했다.

서울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고장신호가 반복되는 소방시설(부품)을 확인·교체하여 고장 발생빈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소방서에서도 오작동·고장신호를 상시 감시가 가능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시스템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보완하여 관련 법 규정의 제·개정을 통해 단계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에 시스템의 효과성 검증을 바탕으로 「화재예방, 소방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개정을 건의하고, 관련 조례도 제정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시스템을 발전시켜 통해 ‘소방시설 이력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소방시설의 경과 연수별 주요 관리사항 및 소방시설별 내용 연수에 대한 기준도 마련할 예정이다.

화재원인과 연소확대와 연관성이 있는 기상상황(기상청), 주변 환경(산림청), 전기의 안전사용(전기안전공사) 등 유관 기관과 축적된 데이터의 통합연계를 통해 화재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결국에는 AI(딥러닝) 기술을 활용, 화재위험 예측을 통해 특정소방대상물의 ‘화재안전등급’을 분류 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정보는 건물이용에 참고할 수 있도록 시민에게 공개된다.

신열우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실시간 소방시설관리 시스템 운영을 통해 소방시설 관리상의 문제점들이 실질적으로 개선되고,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의 역량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