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고등리그 팀 성적증명서 단계적 폐지, 기대할 만한 효과는?


체육특기자가 팀 성적대신 개인의 역량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시대가 열린다. KFA는 2월 초 보도자료를 내고 체육특기자의 대학입시 개선을 위한 팀 성적증명서 발급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고 밝혔다. 개인 기량이 좋음에도 팀 성적에 따라 진학 기회가 갈리는 불평등을 없애고 조금 더 투명한 대학입시 제도를 만들겠다는 의지다. 이 같은 조치가 한국 유소년 축구, 특히 고등리그와 대학축구 U리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ONSIDE가 짚어봤다.

팀 성적 위주의 현 체육특기자 입시제도가 체질 개선에 나선다. KFA는 올해부터 고등리그의 팀 성적증명서 발급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개인실적증명서만 발급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고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는 학생이 고등학교 3학년이 되는 2022년부터는 모든 전국대회의 팀 성적증명서 발급이 폐지된다.

KFA는 팀 성적증명서를 폐지하는 대신 개인의 축구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개인실적증명서에 기재할 계획이다. 현행 개인실적증명서에는 경기 수, 출전시간, 입상내역만 표기되는데 바뀌는 개인실적증명서에는 선수 기량을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자세하고 정확한 데이터가 들어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영상분석시스템도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올해는 시범운영 기간으로 고등리그 일부 경기장에 카메라를 설치해 이동거리, 패스성공률, 볼 차단 및 크로스 횟수 등 경기별 선수 데이터를 측정하고 관리한다. 2021년에는 고등리그가 펼쳐지는 경기장 중 90%의 경기장에, 2022년에는 고등리그 전 경기장에 카메라를 설치해 모든 경기를 분석할 예정이다.

개인의 기량과 가능성보다 팀 성적이 우선시되던 기존의 문화를 뒤집는 의미 있는 시도다. 이 같은 시도가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KFA를 비롯한 고등축구와 대학축구의 구성원들이 가감 없이 의견을 공유하고 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는 건 물론이다. 팀 성적증명서 단계적 폐지가 불러올 나비효과는 어떤 모습일까?

팀 성적증명서 단계적 폐지가 나온 배경은 결국 모순을 바로잡기 위함이다. 기량을 더 발전시키고 강한 경쟁을 통해 성장해야 하는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이 입시를 위한 팀 성적에 매몰돼 성장의 기회를 놓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건전한 경쟁문화를 만드는 게 핵심이다.

이들을 가르치는 현장지도자들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선수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행 체육특기자 입시제도는 감독이 아닌 교수가 선수를 선발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니고 있다. 그러다 보니 개인의 기량 대신 팀 성적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졌다. 김종윤 KFA 대회운영실장은 “2014년부터 체육특기자의 선수 선발 주체가 지도자가 아닌 교수 위주로 바뀌었다. 교수들은 축구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팀 성적 위주로 선수 선발을 할 수밖에 없다. 그게 좋은 가치라면 계속 유지하는 게 맞다. 하지만 현장 지도자들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팀 성적이 입시에 주된 체크 포인트가 될 경우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강팀과 맞붙는 환경을 피하려는 문제가 생긴다. 김종윤 실장은 “고등학교 연령대는 강하게 경쟁하고 이기기 위한 경기를 해야 하는 게 맞다. 하지만 입시 때문에 ‘강 대 강(강한 팀 대 강한 팀)’으로 붙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고 있다. 그 환경을 탈피해보자는 게 이번 팀 성적증명서 단계적 폐지의 출발점이다. 축구 발전을 위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축구는 결국 감독과 선수가 만들어내는 팀 스포츠다. 팀 스포츠는 단 시간에 이룰 수 있는 게 아니며 오랜 기간 동안 호흡을 맞추고 기량을 끌어올려야 가능하다. 물론 개인의 발전도 여기서 비롯된다. 팀을 위해 강한 경쟁을 마다하지 않으면 개인의 기량은 저절로 상승된다. 김종윤 실장은 “지도자는 선수를 뽑을 때 자신의 축구 철학과 맞는 선수를 뽑아야 하는데 지금은 그 부분이 빠져있다. 공정성만 담보되어 있는 상황이다. 팀 스포츠를 위한 선수 선발에는 문제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물론 팀 성적을 통째로 무시한다는 건 아니다. 김종윤 실장은 “대학입시를 위한 팀 성적을 빼는 것이지 고등학교 팀이 각종 대회에서 거둔 성적을 전부 무시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