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에세이) 순수문학 7월호 통권320호 (발행인 박영자) / 류시호 논설위원

신라의 김춘추, 고려의 서희 같은 외교력을 발휘하여 5천 년 역사를 잘 유지하길 고대한다.

    연천의 호로고로(瓠蘆古壘)와 고랑포구

                                         류 시 호 / 시인 수필가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에 있는 호로고루(瓠蘆古壘)를 갔다. 연천군은 남한지역에서 고구려의 유적이 제일 많은 곳이다. 연천을 대표하는 고구려 유적은 호로고루, 당포성, 온대리성 등 강안(江岸)의 평지성으로 고구려의 기상을 엿볼 수 있다. 연천의 임진강은 6세기 중반부터 고구려가 멸망하는 7세기 후반까지 약 120년간 신라와 백제를 방어하기 위한 국경선이었다

  호로고루를 포함 이곳 3개 성은 임진강 강변의 현무암 주상절리(柱狀節理) 높은 절벽 위에 형성되어 있고, 강을 건너야만 공격이 가능한 천혜의 방어 요새다. 이 성곽은 개성과 서울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이다. 고랑포 일대의 임진강은 삼국사기에도 전투를 한 기사가 등장할 정도로 중요한 지역이다.

  마을학교에서 한국사를 가르치다 보면, 백제의 근초고왕이 서기 371년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의 목숨을 빼앗았다. 그런데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서기 391년 백제를 공격해 관미성(오두산 통일전망대), 위례성(잠실 올림픽공원), 호로고로(연천군) 등 한강 북쪽의 땅을 빼앗았다. 그 후 신라의 진흥왕은 백제의 성왕과 힘을 합해 고구려를 공격했고, 과거 백제의 한강 주변의 땅을 다시 찾아 나누어 가졌다

  윤명철 교수의 삼국통일 전쟁 칼럼을 보면,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 후 고구려 복국군은 한성(서울)에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672년에는 신라와 연합해 당나라와 백빙산 전투를 벌였지만 패배했고, 호로하(임진강 중류) 전투에서도 패했다. 이처럼 호로고루성은 고구려 역사에서 남쪽 지역을 방어하는 중요한 기지였다

  임진강의 고랑포구는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중심역할을 하던 나루터이다. 1930년대 개성과 서울의 물자교류를 위하여 고랑포구에 화신백화점의 분점을 설치하고 번창하였으나 남북분단과 6.25 전쟁으로 쇠락하였다. 그리고 이 포구는 1.21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침투로로 유명하고, 6.25 전쟁 때 캐나다 군인들이 겨울철 아이스하키 시합을 하며 시름을 달래기도 했다.

근처에 있는 고랑포구 역사공원에 가면, 레클리스 하사 군마(軍馬) 동상이 있다. 레클리스 군마는 미군으로 한국전쟁에서 활약했다. 이 말은 1953년 경기도 연천에서 해병대와 중공군의 네바다 전초전투에서 하루에 약 51차례 탄약을 실어날랐으며, 이 공로를 인정받아 무공훈장 등 5개의 훈장을 받았다

  호로고로성이 있는 연천 고랑포구를 둘러보니 삼국시대부터 중요 군사 경계선 지역임을 알게 되었다. 이곳은 고구려가 신라, 고구려, 수나라, 당나라와 전쟁 시 평양을 방어하기 위한 남쪽 방어의 중요한 기지였다. 그리고 고랑포구 나루터가 임진강을 통한 물자이동, 서해진출 등 상업적인 중심역할 한 것을 알게 되었다. 한편 연천군에서 고구려 역사유물을 만나게 되어 매우 반가웠다

  역사에 가정이란 없지만,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다면 우리 민족은 만주 벌판까지 차지하여 동아시아의 호랑이가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고구려는 돌궐, 거란 등 북방 세력과 백제, 왜국을 하나로 묶는 공조체제를 구축하지 못하여 당나라와 신라에 멸망했다. 필자는 역사란 과거의 산물이 아니라 미래의 몫이고, 사건의 축적이 아니라 의미의 재생이 아닐까 생각한다. 지금 우리는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 둘러싸여 고단한 시기이다. 앞으로 신라의 김춘추, 고려의 서희 같은 외교력을 발휘하여 5천 년 역사를 잘 유지하길 고대한다. P.S. 본 원고는 3,300자인데 지면 관계상 1,700자로 발표함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