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우리의 교육 이대로 좋은가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우리의 교육 이대로 좋은가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남달리 교육에 신경을 많이 썼다
. 선조들은 외세의 침략으로 못 배운 것이 한이 되어 그런 결과로 문맹은 사라지고 교육수준은 높아졌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지나친 교육경쟁으로 사회현실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실전적 교육보다는 교과서의 이론적 교육만 습득시켜서 졸업장만 받아 나오니 실무에 적응하는데 불필요하게 다시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대학을 졸업해도 갈 곳이 없는데 지금 우리는 누구나 대학에 간다.

  과연 꼭 대학을 나와야 하는가? 한번 생각해 볼 필요도 있다. 어느 분야든 전문가가 되려면 그 계통에서 숙련이 필요하다. 그런데 숙련은 이론만 가지고는 어차피 통달할 수가 없기에 현실은 현장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운동선수가 이론만 가지고 운동하나 운동장에서 피나는 노력을 해야 훌흉한 선수가 될 수 있듯이 교육도 그 시대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하나의 예를 들면 이제 우리나라도 영어와 중국어는 필수교육으로 어디에서 누구를 만나도 서로 소통하며 대화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어려서부터 영어와 중국어를 회화로 가르쳐놓으면 대학을 인가고도 외국회사에서 근무할 수 있는 자신감도 있다. 이것이 진정한 교육이다. 지금까지 교육이 경제산업에 지나치게 치우쳐서 국가 100년을 내다보는 교육을 너무 등한시하여 가장 원초적인 것을 모르고 현 정부도 교육을 오만한 정책으로 비젼이 안보인다.    

  교육은 누구나 배울 수 있어야 하며, 교육기관은 양질의 교육으로 나라의 인재를 양성하여 내는데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 지금 우리의 현실 교육은 책임감 없는 학교도 학원도 아닌 교육시스템이다.

  이러면서도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시켰다고 얘기할 수 있는가?

  그리고 우리 사회가 학교 선생님들의 위상부터 정립하여 누구나 선생님을 존경할 수 있는 사회가 좋은 교육환경을 만드는 사회다. 지나친 입시위주에서 탈피하여야 교육의 본질이 성숙된 인간을 만들 듯이 어느 학교 졸업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듯이 인간 교육이 되어야 한다.

  , , 고교에서 객관식 시험으로 만점을 맞았다고 해서 대학에 진학하여 사고력을 키우는 주관식 시험에서도 만점을 맞겠는가  

  누구나 인간은 자신만이 잘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그 소질을 어려서부터 발굴하여 양성해 주는 것도 교육이다. 세게적으로 유명한 각 분야의 스타들도 처음부터 잘하는 것은 아니다. 손흥민 축구선수나 BTS 가수, 박세리 같은 골프 스타도 자신만이 잘하는 적성을 살리는 결과물이다.

  우리 사회가 젊은이들에게 할 수 있는 용기와 기회를 주는 것도 교육이다. 이제 우리 사회가 잘 살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듯이 과거에 지나치게 치우쳐서 교육의 미래를 보다 멀리 보지 못하는 정부의 각료나 정치인들은 제발 자신을 알고 그 자리를 비워라. 특히 교육자와 교육 공무원들은 미래사회의 인재를 양성하는데 무엇보다도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우리 사회 보이지 않는 곳에도 인재는 많다.

  다만 그 사람에게 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아서 변화의 개혁이 없을 뿐이다.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적성에 맞게 현장감 있는 현실적 교육이 필요할 때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