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경기도교육연구원, 교장리더십, 단위학교를 넘어 마을교육공동체 까지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혁신교육생태계 확장을 위한 교장리더십의 특성과 발현 조건을 담은 「혁신교육생태계 확장을 위한 교장리더십 연구」(연구책임 연구위원 이혜정)를 발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이 학교를 넘나들며 마을이라는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들의 공통점은 교장리더십의 범위가 단위학교를 넘어 마을교육공동체까지 확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사례 학교의 교장들은 학교를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 공간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교장리더십을 학생들의 삶터이자 배움의 공간인 마을로까지 확장하고자 했다.

또 하나의 공통점은 사례 학교의 교장들은 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실현을 통해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에 대한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였고, 그 연장선에서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을 중심에 두고 배움의 공간이 마을로 확장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교장리더십 발현은 개인적 자질이나 역량에 기반한 것 만은 아니다. 이러한 교장리더십은 혁신교육생태계 확장을 가능하게 만든 핵심 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혁신학교 정책과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을 중심에 두고 적극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이 되었던 교장공모제라는 정책적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혁신교육생태계를 통한 혁신학교의 질적 도약의 필요성과 교장 승진, 선발에 있어 교육과정 전문성과 혁신교육생태계에 대한 비전을 함양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연구책임자 이혜정 연구위원은 “혁신교육생태계는 학생들의 배움이 삶과 연결되고, 삶터에서의 활동을 통해 배우는 시공간이다. 이러한 배움의 시공간 확장을 위해 교장리더십이 단위학교 안에서만 발휘되어서는 안 된다. 교장리더십은 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실현,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운영에 대한 자율권 부여를 통해 발휘되는 것이다. 혁신교육생태계 확장을 위해서는 기존 교장리더십의 재구성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적 조건으로서의 혁신학교 정책과 교장공모제의 심화 및 확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