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문화활동) 반가 사유상과 조선 백자 / 류시호 논설위원

오른발을 왼쪽 무릎에 얹고, 오른손을 살짝 뺨에 댄 채 깊은 생각에 잠긴

반가 사유상(半跏 思惟像)과 조선 백자(白磁)

류 시 호 / 시인 수필가

얼마 전,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을 갔다. 이곳의 불상은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으로 오른발을 왼쪽 무릎에 얹고, 오른손을 살짝 뺨에 댄 채 깊은 생각에 잠긴 반가 사유상((半跏 思惟像)으로 삶에 대한 깊은 고민과 깨달음의 상징이라고 한다. 이번에 전시한 반가사유상 2(국보 제78·83)은 한국을 대표하는 미소(微笑)가 되었다고 평을 받았다. 이 작품은 서양의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보다 더 값진 것으로 평가하며, 사유의 방을 만든 작가가 깊은 의미를 부여하여 설치한 작품이다.

이어서 장생 백자(白磁)에 펼친 장수기원전시회를 갔다. 고려 시절에 유행한 청자와 상감 청자에 이어 조선 초기 분청사기가 유행했다. 분청사기라는 용어는 미술사학자 고유섭이 1930년대 분장회청사기(粉粧恢靑沙器)라고 이름 지으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분청사기는 세종 때 놀라운 발전을 이루고 세조 때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시절 전국 각지의 가마에서 제작된 분청사기와 경기도 광주, 경상도 고령과 상주 등 일부 지역에서 만든 백자가 중앙관청으로 보내졌다.

조선백자는 중국 명나라와 교류하면서 더욱 발전하고 유행했다. 세종 때 임금이 사용하는 그릇이 되었고, 15세기 후반부터 백자가 조선의 최고 도자기가 되었다.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그릇을 만들어 유약을 입힌 다음 1300도가 넘는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도자기이다. 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한 최순우는 나는 믿고 싶다. 도공들은 만드는 즐거움에 살고 있다고, 무어라고 조리 있게 설명할 수는 없어도 그릇을 빚어내는 즐거움이 바로 그 아름다움을 보는 마음이라고도공들의 마음을 헤아렸다. 그리고 청자보다 더 우수한 기술로 제작된 백자는 조선 시대에 널리 쓰였다.

이번 전시회의 사유의 방을 통하여 세계 70여 개의 반가 사유상 중 우리나라가 소유한 불상이 최고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분청사기와 조선백자를 보면서 고려청자보다 더 깊고 화려한 도자기임을 입증되었다. 그런데 백자를 만들던 도공들이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가 일본의 도자기 발전을 돕고, 일본이 우리 도공들의 기술을 활용하여 서양으로 대량 수출한 점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최근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며, 우리 모두 대한민국의 국방력을 강화하여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화국가를 유지하도록 함께 노력하자. / 논설위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